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데이터베이스
- Class함수
- C/C++
- 입출력
- 프로그래밍
- c++
- oracle
- cocos2d
- 데이터타입
- c++게임엔진
- 문자열
- 동기화블럭
- 예외처리
- cocos2d-x
- Interface
- Stack
- singleton
- java
- 예외던지기
- 반복문
- 스레드
- interface상속
- cocos2dx
- Exception
- 게임엔진
- 상수변수
- unity
- Thread
- c#
- db
- Today
- Total
목록java (56)
초보 프로그램 개발자

2차원 배열 2차원 배열은 엑셀 표라고 생각하면 쉽다. 생성 방법은 int[][] num = new int[5][5]; // 모든 데이터타입으로 가능 이렇게 선언하면 아래와 같이 5x5의 배열이 만들어진다. num[][] 에서 첫번째는 가로, 두번째는 세로를 뜻한다. 좌표(x,y) 이해하기 쉽도록 안에 숫자를 입력하면 package com.day6; public class Test7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int[][] num = new int[5][5]; int n = 1; for(int i = 0; i
버블 정렬 선택정렬은 1번부터 10번까지 있다고 가정했을때, 1번을 기준으로 10번까지 순서대로 비교해 나가는거라면 버블정렬은 한칸씩 이동하며 비교를 해나간다. 1번2번 비교 후 2번3번 비교 3번4번 비교 ..... int num[] = {50, 40, 30, 20, 10}; for(int i=1; i
선택정렬 배열에 정렬되지 않은 수가 입력이 되었을때 정렬 방법중 하나이다. 선택 정렬의 시간복잡도는 O(n) = n^2 이다. 선택정렬을 하는 방법은 배열의 첫번째 방을 기준으로 그 뒤에 있는 모든 방과 크기를 비교하면서 자신이(첫번째) 더 크면 바꿔준다. 그 후 두번째 방으로 이동한뒤 두번째 방을 기준으로 뒤에 있는 모든방과 비교를 해준다. 이렇게 마지막까지 가게되면 정렬은 끝이 난다. int[] num = {4,2,3,5,1}; int temp; // 임시로 저장할 공간 for(int i=0; i

확장 for문 확장 for문이라고 배웠는데, foreach 문으로 이해하면 더 쉽다. for문은 조건을 넣어 반복 횟수를 지정해준 반면 확장for문은 알아서 돌게끔 만들어줄 수 있다. for(변수 : 대상) int[] num = {1,2,3,4,5}; for(int i : num){ //실행코드 } for 안의 int i 가 num이라는 배열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돌면서 코드를 실행해주는 것이고, i 가 num의 마지막이라면 반복문을 탈출해준다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int[] num = {1,2,3,4,5}; for(int i : num) { System.out.printf("[%d] ", i); } }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for(int i=0; i

배열 배열은 사용자가 지정한 수만큼의 방을 만들어 지정된 방에 데이터를 넣을수 있다. 배열의 크기는 처음 선언한 이후에는 줄이거나, 늘릴수 없다. 배열의 크기를 처음에 10개로 선언 한뒤 데이터가 1개 뿐이여도 크기를 줄일 수 없고, 데이터가 10개를 초과하는 11개 이상이여도 더이상 크기를 늘려줄 수 없다. 배열 예시 int[] num = new int[10]; // int 형 배열 long[] lNum = new long[10]; // long 형 배열 char[] ch = new char[10]; // char 형 배열 String[] str = new String[10]; // string 형 배열 // 각 배열을 10개의 방으로 만들어 주었다. 배열을 선언할 때 방의 갯수를 정해주는 방법과 배열..
switch switch 문 또한 조건문이다. package bbs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 int num = 1; // 입력을 받는다고 가정 switch(num) { case 1: System.out.print("1입니다."); break; case 2: System.out.print("2입니다."); break; case 3: System.out.print("3입니다."); break; default: System.out.print("숫자가 아닙니다."); break; } } } 위의 코드에서 num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고 가정..
저번 강의에서 입력 받는 방법으로 BufferedReader와 Scanner를 배웠는데 다른 방법으로 System.in.read() 로 바로 받아오는 방법이 있다. System.in.read() 는 아스키코드를 받아오는 입력방법이라 1byte인 문자 하나만 받아올 수 있다. package bbs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 int num = System.in.read(); System.out.print(num); // 1을 입력하면 아스키코드인 49가 출력 } } 위의 코드에서 num에 1을 입력하게 되면 아스키코드에 있는 49가 출력이 되..

오늘은 다중 for문 및 while문을 배웠다. 다중 for문 다중for문이라고 for문이랑 다른것은 없고 for문 안에 또 for문을 작성한 문법이다. 예시로 구구단을 만들어 보겠다. package bbs;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for(int i=2; i
for문 반복문에는 for, while, do~while 문이 있지만 오늘 배운것은 for문 이다. for문을 설명 하면 for(시작점; 반복횟수; 증가값) 위와 같이 돌아가며, 반복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또는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. for문의 예제로 int a = 0; for(int i=0; i
삼항 연산자 삼항연산자는 참과 거짓을 한줄로 표현할 수 있는 문법이다. int x = 10; int y = 20; boolean b; b = x > y ? true : false; if문의 글에서와 같이 if문으로 조건을 넣어 비교를 할 수 있지만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더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. 마지막줄에서 ?를 기준으로 앞에 x > y 가 조건이고 ? 뒤의 true : false 가 : 을 기준으로 참이면 true를 거짓이면 false를 반환한다. 조건문으로 보여 true, false만 반환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. int x = 20; int y = 10; int max = 0; max = x > y ? x : y; 위의 코드처럼 int형도 표현 할 수 있다. x 는 y보다 큰것이 참이므로 max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