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보 프로그램 개발자

[ 1주차 ] Java - 데이터타입 본문

교육 일지/java

[ 1주차 ] Java - 데이터타입

Ji_HG 2023. 5. 5. 14:54

5월 3일 자바 개발자 교육을 시작하여 매일 배운것들을 작성하려고 한다.

첫 시작으로 자바의 테이터 타입을 배웠다.

자바의 데이터타입

위의 내용에서 자주 사용하거나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 하자면

 

정수형 데이터 타입

  • int  - 정수를 담을 수 있으며 +-21억 까지의 수를 표현할 수 있고 4byte 이다.
  • long  - int 와 마찬가지로 정수를 담을수 있으며 엄청나게 큰 수 까지 표현이 가능하며 8byte 이다. (+-900해)

실수형 데이터 타입

  • float - 정수도 표현할 수 있지만 실수도 표현이 가능하며 int와 같은 4byte 이다.
  • double - float와 마찬가지이지만 더 큰 수 까지 표현이 가능하며 8byte 이다.

문자형 데이터 타입

  • char - 문자 하나를 표현할 수 있으며 2byte 이다.( 한글자가 2byte)
  • 문자가 아닌 문장(문자열)을 표현할 수 있는 String 이 있지만 String은 class로 표현한다

논리형 데이터 타입

  • boolean - 참과 거짓을 표현 할때 사용하는 타입

이렇게 정리를 해 보았고, int와 float는 같은 4byte공간을 가지지만 int형 데이터에 float형을 담을 수 는 없다.

예시를 보면

int a = 10;
float b = 10;

a = b; // 오류
b = a;

a와 b 에 둘다 10을 입력해 주었고 자료형만 int와 float로 나누었을 때,

b = a 는 문제 없이 실행 되지만 a = b 라인에서 빨간줄로 오류 표시가 된다.

이유를 보자면 같은 4byte 공간을 할당 받았지만 둘의 메모리 할당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.

int a 는 10으로 표현이 되고, float b 는 10.0 으로 표현이 되기 때문 이다.

( long타입과 double 타입도 똑같이 표현이 된다.)

메모리 할당

모든 데이터 타입 맨 앞의 S는 음수,양수를 표현

char형은 문자 타입이기에 없다.

int는 나머지 부분이 모두 정수로 표현되지만

float형은 E부분은 정수 뒤에 M부분은 소수점을

표현할 수 있게 할당 되기 때문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출처 : https://m.blog.naver.com/yhs86/221759606227

 

변수의 타입

2.1 변수의 타입 변수의 타입이란, 변수에 저장하려는 데이터의 종류를 정의한 것으로 자료형 이라고도&nbs...

blog.naver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