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데이터타입
- 반복문
- Thread
- C/C++
- 프로그래밍
- unity
- 동기화블럭
- c++
- Class함수
- 데이터베이스
- c#
- 상수변수
- Exception
- singleton
- 입출력
- 문자열
- java
- interface상속
- cocos2d-x
- c++게임엔진
- Stack
- 예외던지기
- Interface
- cocos2dx
- 게임엔진
- 예외처리
- cocos2d
- db
- 스레드
- oracle
Archives
- Today
- Total
초보 프로그램 개발자
[ 7주차 ] Oracle 데이터베이스 (JOIN) 본문
JOIN
- INNER JOIN : 같다라는 뜻
- OUTER JOIN : 외부조인
- CROSS JOIN : 한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만들어낼 수 있다
- SELF JOIN : 자기자신의 테이블
- 똑같은 형태의 컬럼명이 존재해야 한다.
TRANSACTION SQL / ANSI SQL
- TRANSACTION SQL 은 ORACLE에서 만든 JOIN 방법
- ANSI SQL은 표준 JOIN 방법
-- TRANSACTION SQL(오라클사에서 만든거)
SELECT A.ENAME, JOB, SAL, B.DNAME, LOC
FROM EMP A , DEPT B -- 테이블이름에 별칭 사용시 AS사용 불가
WHERE A.DEPTNO = B.DEPTNO; -- 테이블에 별칭 부여시 모든 이름 별칭으로 변경
-- ANSI SQL (표준)
SELECT A.ENAME, JOB, SAL, B.DNAME, LOC
FROM EMP A INNER JOIN DEPT B -- JOIN만 써도 INNER JOIN
ON A.DEPTNO = B.DEPTNO; -- 조건문은 ON (WHERE X)
TRANSACTION SQL 보다는 ANSI SQL로 연습하는것이 좋다.
INNER JOIN
-- ORACLE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, DEPT B
WHERE A.DEPTNO = B.DEPTNO AND B.DEPTNO >= 10;
-- ANSI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 INNER JOIN DEPT B
ON A.DEPTNO = B.DEPTNO AND B.DEPTNO >= 10;
EMP TABLE과 DEPT TABLE에 공통으로 있는 DEPTNO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이다.
공통된 컬럼명은 TABLE명. 또는 별칭. 으로 표시해줘야 한다.
OUTER JOIN
SELECT COUNT(*) FROM EMP; -- 12개의 데이터
SELECT COUNT(*) FROM DEPT; -- 4개의 데이터
-- ORACLE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, DEPT B
WHERE A.DEPTNO = B.DEPTNO(+); -- 12개가 나옴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, DEPT B
WHERE A.DEPTNO(+) = B.DEPTNO; -- 13개가 나옴
-- ANSI OUTER JOIN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 LEFT OUTER JOIN DEPT B
ON A.DEPTNO = B.DEPTNO; -- 12개가 나옴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 RIGHT OUTER JOIN DEPT B
ON A.DEPTNO = B.DEPTNO; -- 13개가 나옴
CROSS JOIN
-- CROSS JOIN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, DEPT B; -- 48개 데이터
-- ANSI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
FROM EMP A CROSS JOIN DEPT B; -- 48개 데이터
SELECT A.DEPTNO, ENAME, DNAME, LOC -- 12개 데이터
FROM EMP A CROSS JOIN DEPT B
WHERE A.DEPTNO = B.DEPTNO; -- WHERE만 붙이면 INNER JOIN으로 변경됨
CROSS JOIN 시 기준이되는 DEPTNO하나에 JOIN된 TABLE의 데이터가 모두 붙게 되어
엄청나게 많은 양의 데이터가 만들어지는데, 테스트할 때 사용한다고 배웠다.
SELF JOIN
-- SELF JOIN ( 자기 자신을 가지고 JOIN문을 만들 때 )
SELECT DISTINCT A.*
FROM EMP A, EMP B
WHERE A.EMPNO = B.EMPNO;
-- ANSI
SELECT DISTINCT A.*
FROM EMP A JOIN EMP B
ON A.EMPNO = B.EMPNO;
SELF JOIN 은 따로 SELF JOIN이라고 작성하지 않고 같은 테이블을 JOIN시키는것이다.
'교육 일지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7주차 ] Oracle 데이터베이스 (DML, COMMIT, ROLLBACK) (0) | 2023.06.15 |
---|---|
[ 7주차 ] Oracle 데이터베이스 (UNION) (0) | 2023.06.14 |
[ 7주차 ] Oracle 데이터베이스 (함수 사용 쿼리문) (0) | 2023.06.13 |
[ 7주차 ] Oracle 데이터베이스 ( 함수 ) (0) | 2023.06.13 |
[ 7주차 ] Oracle 데이터베이스 (정규화표현식, DUAL) (0) | 2023.06.13 |